
광주형 평생주택 위치, 면적
상무지구 광주형 평생주택 현장위치는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1166번지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들어가며 사업면적으로는 15,495.60㎡, 건축면적은 6004.22㎡, 지하 1층~26층으로 총 5개 동 460세대가 계획되어 있고 주차대수는 497대로 세대당 1대 수준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공급하는 면적으로 36㎡, 59㎡, 84㎡로 소형평수와 국민평수로 공급이 되며 각 평형대마다 세대원 수에 따라 공급하는 주택면적이 정해져 있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 입주자 모집은 2026년 상반기 광주도시공사 홈페이지 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입주자 모집 알림 받기 신청도 가능합니다
도시공사홈페이지 바로가기

36 타입은 침실과 거실, 주방, 욕실로 총 68세대가 공급 될 예정입니다.


59A, 59A1 타입은 59A 96세대, 59A1 37세대로 작은방, 알파룸, 안방, 드레스룸, 욕실 2개, 다용도실로 설계되었네요. 두 번째 사진은 59B 33세대, 59B1 6세대로 A타입의 알파룸이 빠진 대신 현관팬트리로 설계되었습니다.


84A 93세대, 84A1 66세대로 구성되며 59A타입과 구조는 비슷하지만 복도팬트리와 현관 창고가 들어가 있네요. 84B 27세대, 84B1 34세대로 A타입과의 차이는 복도팬트리가 빠진 대신 알파룸으로 거주 활용도가 더 높아졌어요

공급계획, 자격조건
상무지구 광주형 평생주택은 입주계층이 확대되어 중위소득기준 150%까지도 입주가 가능하며 가구원수 및 맞벌이 여부에 따라 190%까지 확대가 되었습니다.
1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207만 원, 150% 311만 원, 190% 394만 원
2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345만 원, 150% 518만 원, 190% 656만 원
3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443만 원, 150% 665만 원, 190% 842만 원
4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540만 원, 150% 810만 원, 190% 1,026만 원
* 세대원 수에 따라 입주 가능면적이 정해져 있는데요.
입주자가 희망하는 경우, 세대원 수 보다 1명 많은 세대원 수 기준의 주택에도 입 주을 할 수 있으나 이렇게 진행하였을 경우에는 임대료 할증이 5%~15% 인상 적용 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장점만 모아 모은 평생주택
기존 공공임대주택과 상무지구 광주형 평생주택의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공공임대 공급대상의 경우 저소득층과 주거취약계층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당 사업지는 무주택 중산층 이하의 계층으로 공급대상이 맞춰져 있고 면적 또한 차이가 크게 나는 것으로 표기가 되어 있네요. 그리고 임대기간도 5년에서 50년까지 유형별로 상이하지만 광주형 평생주택은 최장 30년까지 거주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시민분들에게 고분양가 시기에 저렴하고 이사걱정 없이 안정적인 주거를 제공하고 입주 후에도 시세차익을 보장하는 복지 정책으로 진행하며 소형평형대로만 진행하는 것이 아닌 국민평수의 세대와 특화설계로 품질 및 퀄리티 높은 디자인으로 도심의 교통과 인프라를 모두 원스톱라이프로 삶의 질을 높여주는 아파트로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광주도시공사 홈페이지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 경제 활성화·청년 일자리 창출 (2) | 2025.02.11 |
---|---|
2025, 강진군 청년 주거비 지원 사업 (0) | 2025.02.09 |
매월 30만원씩 10개월간 지원받는 “ 식비 전용 선불카드 ” 지급 (1) | 2025.02.07 |
2025,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지원 정책 (1) | 2025.02.07 |
월세 1만원? 전주시, 최장 20년 거주 청년 임대주택 공급 (1) | 2025.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