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고 3학년 대상 직업역량 지원, 특화훈련비 전액무료

by 꿀양이 2025. 3. 8.
728x90
반응형

사물인터넷·멀티미디어, 게임콘텐츠 등 전국 217개 훈련기관 확정

고용노동부와 직업능력심사평가원은 올해 전국 217개 훈련기관에서 527개 '일반고 특화훈련' 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양질의 직업훈련 기회를 제공한다고 5일 밝혔다

이에 사물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게임콘텐츠, 음식서비스, 미용 등 36개 직종의 훈련과정을 운영해 참여 학생들이 이와 관련된 분야의 실무 역량을 쌓을 수 있다. 

'일반고 특화훈련'은 일반계고에 재학 중이지만, 대학교 진학이 아닌 취업을 희망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직업역량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부와 교육부가 협업해 2015년부터 시작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정부가 교육비용을 전액 지원할뿐더러 매월 20만 원의 훈련장려금과 함께 교육 종료 후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통한 취업 상담 및 알선이 가능하다.  

 

일반고 특화훈련은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중 대학 진학이 아닌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직무역량 개발을 지원한다. 

이에 학생들은 3학년 1년 동안 직업훈련기관에서 진로에 맞는 실무 중심의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참여 학생들은 취업에 필요한 직무능력뿐만 아니라 이력서·자기소개서 작성, 모의 면접, 취업 상담 등 다양한 취업 지원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해마다 70% 수준의 높은 취업률을 보이고 있다.

한편 훈련을 희망하는 학생은 인근 고용센터를 방문해 국민내일 배움 카드를 발급받고, 소속 학교장의 승인을 받아 훈련에 참여할 수 있다.

특히 교육훈련비는 전액 무료이며, 훈련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훈련장려금도 80% 이상 출석 시 매월 20만 원을 지급한다.

 

정부는 올해부터 학교 밖 청소년(17~19세)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 취업역량 강화와 노동시장 진입을 도울 계획이다.

이번 훈련 참여를 원하는 청소년은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051-662-3000)'에서 상담 진행 후 참여하면 된다. 

한편 일반고 특화훈련을 실시하는 훈련기관과 훈련과정에 대한 정보는 고용24 홈페이지에서 검색할 수 있으며,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하면 훈련 참여 방법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청소년지원센터 바로가기

 

고용 24 바로가기

 

 

지원 프로그램 어떤 것들이 있을까

1. 고교 대학 연계직업훈련

특성화고 미치 전문대학과 혐력하여 직업기초 및 심화교육을 제공한다

대학의 직업 교육과정을 미리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고3 학생들이 전문 교육기관(직업교육기관, 폴리텍대학등)에서 직업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다

미용, 제과제빵, 자동차정비, 항공서비스등 다양한 직업군을 제공한다

3. 선취업 후진학지원

취업을 원하는 학생들에게 기업과 연계된 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한다.

취업 후에도 야간. 온라인 대학 과정을 통해 학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4. 현장 맟춤형 인재양성 사업

지역 기업과 협력하여 지역산업 맞춤형 교육을 제공한다

지역특화산업( 반도체, 바이오, 관광 등) 관련 실무교육을 실시한다.

5. NS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운영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역량을 반영한 실무 중심교육을 진행한다.

학생들이 실질적인 취업 경쟁력을 가질수 있도록 지원한다.

 

지원대상과 기대효과는 무엇인가

 

지원대상은 일반계 고등학교 1-3학년 학생 중 직업교육을 희상하는 학생이나 취업을 목표로 실무 경험을 쌓고 싶은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대학 진학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진로를 선택하고 취업을 원하는 학생들이 실질적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지역 및 산업과 연계한 맞춤형 직업교육을 강화한다.

 

전국 어디에서나 참여 가능하며 각 시. 도 교육청 및 학교마다 운영 방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관심이 있다면 소속 학교의 진로 담당 교사나 각시 교육청 홈페이지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임영미 고용부 직업능력정책국장은 "정부는 대학 진학이 아닌 취업을 희망하는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 탐색과 직무능력 향상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며 "학생들이 일반고 특화훈련 과정을 통해 직무역량을 키우고, 원하는 직업을 향해 한 걸음 앞서 준비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728x90

댓글